발한 억제제 & 데오드란트 부작용 증상은? (+올바른 사용법)

발한 억제제&데오드란트 부작용

발한 억제제 & 데오드란트 부작용 증상

데오드란트 부작용 어디까지가 사실일까?


데오드란트.

여름철이면 빠질 수 없는 필수 아이템이죠.

하지만, 땀 냄새를 해결해주는 반면 피부 자극, 알레르기 심지어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올 여름 건강하고 시원한 여름을 보내기 위해, 데오드란트의 주요 성분과 부작용 그리고 안전한 사용 방법 까지 자세히 한번 알아 볼까요?

발한 억제제 부작용


부작용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 알루미늄 지르코늄 테트라클로로하이드레이트 글리신 복합체
  • 인공 향료
Aluminum chlorohydrate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 – Image by bedneyimages on Freepik

발한 억제제는 말 그대로 피부 모공을 막아 땀이 나지 않도록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주요 성분인 알루미늄이 겨드랑이의 뜨거운(?)땀과 만나 녹으면서 피부 모공을 막는 원리다.

땀이 발생 되지 않기 때문에 냄새도 나지 않을 뿐더러 불편하지도 않다.

문제는 알루미늄과 연관 된 부작용이다.

이에 관련 된, 미국 국립 보건원(NIH)의 연구 보고서에는 2가지 의견이 존재한다.

먼저, 알루미늄에 대한 부작용에 관련 된 내용이다.

1. 알루미늄은 유방암을 발생 시킨다?


관련 근거
  • 알루미늄은 피부에 흡수되어 “에스트로겐”과 같은 호르몬에 영향을 줄 수 있다.1참고 문헌
    Darbre PD. Aluminium, antiperspirants and breast cancer. J Inorg Biochem. 2005 Sep;99(9):1912-9. doi: 10.1016/j.jinorgbio.2005.06.001. PMID: 16045991.
  • 에스트로겐 호르몬은 “유방암”을 성장 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2018년 NIH에 보고 된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한다.

알루미늄은 피부에 흡수되어 “에스트로겐 수용체 단백질 수치를 증가”시키고 “p53, cyclin D1, c-fos”과 같은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작용하는 유전자 발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2참고 문헌
Gorgogietas VA, Tsialtas I, Sotiriou N, Laschou VC, Karra AG, Leonidas DD, Chrousos GP, Protopapa E, Psarra AG. Potential interference of aluminum chlorohydrate with estrogen receptor signaling in breast cancer cells. J Mol Biochem. 2018;7(1):1-13. PMID: 30148119; PMCID: PMC6108589.
p53, cyclin D1, c-fos는 유방암을 성장 시키는 단백질 종류다.

윗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알루미늄”성분이 피부에 흡수 된다는 것이다. 즉, 흡수 된 알루미늄이 에스트로겐 호르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 된 것이다.

당시, 이러한 제안은 화장품 업계에서 마른 하늘에 날벼락을 맞는 기분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다행히도 알루미늄 염이 유방암을 발생 시킨다는 과학적 증거는 지금까지도 밝혀지지 않았다.3참고문헌
Gorgogietas VA, Tsialtas I, Sotiriou N, Laschou VC, Karra AG, Leonidas DD, Chrousos GP, Protopapa E, Psarra AG. Potential interference of aluminum chlorohydrate with estrogen receptor signaling in breast cancer cells. J Mol Biochem. 2018;7(1):1-13. PMID: 30148119; PMCID: PMC6108589.

다시 말해서, 알루미늄 염과 유방암 발생 연관성에 결정적인 과학적 증거는 없지만 “에스트로겐 수용체 단백질”수치를 증가 시킨다는 연구 결과는 소비자와 관련 매체들에게 여전히 많은 불안감을 주고 있다.

2. 알루미늄은 신장 질환을 유발 시킨다?


관련 근거
  •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알루미늄 양은 신장에 해를 끼칠 정도로 많지 않다.
  • 그러므로, 건강한 일반 사람의 신장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 하지만, 신장이 매우 나쁘다면 전문가와 상담을 해볼 것을 권장한다.

알루미늄이 신장에도 영향을 끼칠까?

미국 신장 협회(kidney.org)에 따르면, 알루미늄 염이 신장 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이 문제 제기는 투석 환자의 “인(phosphorus)” 수치를 낮추기 위해 처방 되었던 “알루미늄 히드록시드”라는 약물을 처방하면서 문제가 제기 되었다.

투석 환자의 경우 신장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알루미늄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체내에 축적이 된다는 것인데, 전문가들은 이렇게 체내에 축적 된 많은 양의 알루미늄이 투석 환자들에게 치매 발생률을 더 높인다는 사실을 밝혀 낸 것이다.4참고 문헌 sciencedirect

이러한 이유로, 미국 식품의약품감독원(FDA)에서는 “알루미늄 성분”을 사용하는 모든 제품에 대해 신장 질환이 있는 경우 의사와 상담하라는 경고 문구를 표기하도록 의무화 되었다.

하지만, 발한 억제제의 주요 성분 인 알루미늄 염은 신장 기능이 매우 저하 된 (30% 이하)사람에게만 해당 되지 건강한 신체를 가진 사람에게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3. 가려움증, 따끔거림 ?


  1. 알루미늄
  2. 파라벤
  3. 라놀린
  4. 프로필렌 글리콜

땀이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발한 억제제를 발랐는데, 가려움과 따끔거림이 발생한다면 대표적인 발한 억제제 부작용이다. 그 중에서도 위 5가지 성분이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겨드랑이 색소 침착 ?


관련 근거
  1. 알코올 :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어 피부를 어둡게 만들 수 있다.
  2. 알루미늄 : 피부 모공을 막아 피부 자극을 일으킨다.
  3. 제 모 : 피부를 자극해 멜라닌 세포 생성을 촉진 시킨다.

발한 억제제 부작용으로 겨드랑이에 색소 침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멜라닌 세포와 관련이 있습니다.

멜라닌 세포는 인간의 피부 색상을 만드는 세포로 알려져 있는데, 자외선과 같은 외부의 유해한 물질로부터 자극을 받으면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많은 양의 멜라닌 세포를 생성하게 된다.

그래서 햇볕을 마니 보면 피부가 검게 탄다는 이유가 바로 이런 이유이다.

마찬가지로, 발한 억제제를 겨드랑이에 발랐는데 피부를 자극한다면 멜라닌 세포가 생성이 되고 해당 부위가 검게 변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제품 성분에 피부에 보습을 해주는 성분이 있는지 꼭 확인해 봐야 할 필요가 있다.

데오드란트 부작용


부작용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 인공 향료 및 특정 성분에 의한 부작용
  • 롤 온, 스틱, 스프레이 등 제품 타입에 따른 부작용

발한 억제제 부작용은 “알루미늄 염”이 가장 큰 원인으로 주목되지만, 데오드란트 부작용은 더 다양한 요소에 의해 부작용이 발생 된다.

이와 관련 하여, 미국 국립 보건원은 롤 온, 스틱, 스프레이, 분말 형태로 된 제품이 각각 어떤 부작용을 일으키는지 잘 설명하고 있다.

먼저, 제품 종류에 따른 부작용이다.

롤 온ㆍ스틱 타입으로 인한 부작용 증상


  • 가려움증
  • 급성 염증
  • 피부 착색
  • 겨드랑이 혹

롤 온과 스틱 타입의 데오드란트는 제품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기 때문에 자주 바르면 피부 자극이 발생 된다. 앞서 겨드랑이에 색소 침착이 되는 이유를 설명했는데, 일단 피부가 자극을 받으면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멜라닌 세포가 생성 된다.

그렇기 때문에, “합성 향료, 알코올, 트리클로산, 파라벤, 프로필렌 글리콜” 등 피부 자극을 일으키는 성분은 최대한 피하고 면도를 한 후, 바로 사용하는 것도 좋지 않다.

스프레이 타입으로 인한 부작용 증상


  • 가려움 증
  • 재채기와 같은 호흡기 질환
  • 피부 건조증
  • 눈 충혈

롤 온이나 스틱 타입은 해당 피부 부위에만 부작용이 발생하지만, 스프레이는 눈이나 코와 같은 더 광범위한 피부 부위에 노출이 된다.

이로 인해, 재채기와 같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거나 내용물이 눈에 들어가 눈 충혈이 발생 되기도 한다.

더군다나, 사용자의 대부분이 제품을 충분히 흔들어 사용하지 않고 분사하기 때문에 핵심 내용물은 제품 하단에 쌓이고 알코올만 뿌려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 수 있다.

다행히도, 스프레이 타입은 겨드랑이에 색소 침착을 유발하지는 않는다.

인공 향료로 인한 부작용 증상


  • 두통
  • 알레르기

기분 좋은 향은 우리를 즐겁게 하고 기대감을 증폭 시키지만, 부작용 증상 또한 만만치 않습니다. 특히, 피부가 민감하다면 부작용 증상은 더 빠르게 나타날 것입니다.

미국 국립 보건원에 따르면, 인공 향료는 “두통,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 피부 자극” 등에 영향을 준다고 하며 심할 경우 호르몬 불균형이나 발암 가능성이 생길 수도 있다고 한다.

특히, 화장품 원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7가지 성분은, 신경에 문제를 일으켜 “현기증, 발작, 우울증, 편두통, 불면증”을 야기한다고 한다.5참고 문헌
Pinkas A, Gonçalves CL, Aschner M. Neurotoxicity of fragrance compounds: A review. Environ Res. 2017 Oct;158:342-349. doi: 10.1016/j.envres.2017.06.035. Epub 2017 Jul 3. PMID: 28683407.
6참고 문헌
Steinemann A. Fragranced consumer products: exposures and effects from emissions. Air Qual Atmos Health. 2016;9(8):861-866. doi: 10.1007/s11869-016-0442-z. Epub 2016 Oct 20. PMID: 27867426; PMCID: PMC5093181.

  1. 시트랄
  2. 리날룰
  3. 리모넨
  4. 제라니올
  5. 시트로넬올
  6. 유제놀
  7. 파네솔

결론


발한 억제제 부작용 요약
  • 주요 원인은 “알루미늄 염”이다
  • 알루미늄 염이 유방암을 발생 시킨다는 과학적 증거는 없다.
  • 피부 자극으로 인한 “색소 침착, 따끔거림, 가려움증” 등이 발생된다.
  • 신장 질환이 있는 경우, 의사와 상담 하에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데오드란트 부작용 요약
  • 롤 온ㆍ스틱 타입은 “가려움증, 염증, 피부 착색, 겨드랑이 혹”을 발생 시킨다.
  • 스프레이 타입은 “눈 충혈과 재채기와 같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
  • 내용물을 충분히 섞지 않고 사용하면 피부가 건조해 질 수 있다.
  • 인공 향료는 신경에 문제를 일으켜 “두통, 현기증, 불면증”을 야기한다.

발한 억제제 & 데오드란트 올바른 사용법 6가지


1. 샤워를 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사용한다.

땀이 이미 발생 된 상태에서 제품을 사용하면 겨드랑이에 있는 세균과 제품 성분이 혼합 돼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가급적이면 샤워를 한 뒤에 물기를 제거하고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2. 땀이 많다면 “발한 억제제”, 일반 생활에는 “데오드란트”

헬스장이나 야외 활동이 많은 사람이라면 땀을 억제하는 발한 억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반면, 일반 생활을 하는 사람이라면 데오드란트 하나로도 충분히 커버가 된다.

3. 발한 억제제 & 데오드란트는 잠들기 전에 바르는 것이 좋다.

밤은 우리 활동이 가장 낮은 시간대이다. 이 때에는 체온이 낮고 땀 샘 활동이 낮아 제품 효과를 가장 크게 볼 수 있는 시간대 이기도 하다.

4. 너무 자주 바르면 피부가 자극 받을 수 있다.

  • 발한 억제제는 하루에 1번, 주 2~3회
  • 데오드란트 하루에 1~3회

5. 스프레이 타입은 충분히 흔든 후, 20cm 떨어져서 뿌리자.

스프레이 타입이 가장 사용하기가 편해 많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하지만, 내용물을 충분히 흔들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는 알코올 성분이 피부를 건조 시켜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너무 가깝게 붙여 사용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6. 제품 성분 확인하기.

인공 향료나 파라벤과 같은 피부를 자극하는 성분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7. 제모를 한 직후, 제품을 바르는 건 위험!

면도기나 제모 용품으로 털을 제거하는 경우에도 피부는 자극을 받는다. 이미 피부 자극을 한번 받은 상태에서 데오드란트를 사용할 경우, 부작용 증상이 더 빠르게 나타난다.


참고 문헌

데오드란트 안 씻고 자면?


핵심 요약
  • 데오드란트는 부작용을 발생 시킨다.
  • 사용 후 깨끗이 씻지 않으면, 부작용 발생 확률이 높다.

발한 억제제와 데오드란트는 화학 성분으로 만들어진 제품이다. 그렇기에, 가려움증과 같은 부작용 후기 또는 리뷰를 많이 볼 수 있는데 사용 후, 제대로 씻지 않는다면 부작용 발생 확률을 더 높이는 셈이다.

처음 한 두 번은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처럼 느낄 수 있으나, 지속적으로 화학 물질이 쌓이게 되면 “색소 침착, 가려움증, 따가움증, 겨드랑이 혹, 알레르기, 피부 염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